Skip to main content

TEXT 15

제15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यं हि न व्यथयन्त्येते पुरुषं पुरुषर्षभ ।
समदुःखसुखं धीरं सोऽमृतत्वाय कल्पते ॥ १५ ॥

Text

원문

yaṁ hi na vyathayanty ete
puruṣaṁ puruṣarṣabha
sama-duḥkha-sukhaṁ dhīraṁ
so ’mṛtatvāya kalpate
얌 히 나 뱌타얀뗴떼 yaṁ hi na vyathayanty ete
뿌루샴 뿌루샤르샤바 puruṣaṁ puruṣarṣabha
사마-두카-수캄 디람 sama-duḥkha-sukhaṁ dhīraṁ
소’므리따뜨바야 깔빠떼 so ’mṛtatvāya kalpate

Synonyms

동의어

yam — one to whom; hi — certainly; na — never; vyathayanti — are distressing; ete — all these; puruṣam — to a person; puruṣa-ṛṣabha — O best among men; sama — unaltered; duḥkha — in distress; sukham — and happiness; dhīram — patient; saḥ — he; amṛtatvāya — for liberation; kalpate — is considered eligible.

얌: 그에게, 히: 확실히, 나: 결코, 뱌타얀띠: 불행한, 에떼: 이 모든 것들, 뿌루샴: 사람에게, 뿌루샤-리샤바: 오 최고의 인간이여, 사마: 불변의, 두카: 불행의, 수캄: 행복과, 디람: 인내하는, 사하: 사람, 암리따뜨바야: 해방을 위해, 깔빠떼: 자격이 있는.

Translation

번역

O best among men [Arjuna], the person who is not disturbed by happiness and distress and is steady in both is certainly eligible for liberation.

오 최고의 인간이여(아르주나), 행복과 불행에 흔들림 없이 한결같은 자는 분명 해방을 얻을 자격이 있다.

Purport

주석

Anyone who is steady in his determination for the advanced stage of spiritual realization and can equally tolerate the onslaughts of distress and happiness is certainly a person eligible for liberation. In the varṇāśrama institution, the fourth stage of life, namely the renounced order (sannyāsa), is a painstaking situation. But one who is serious about making his life perfect surely adopts the sannyāsa order of life in spite of all difficulties. The difficulties usually arise from having to sever family relationships, to give up the connection of wife and children. But if anyone is able to tolerate such difficulties, surely his path to spiritual realization is complete. Similarly, in Arjuna’s discharge of duties as a kṣatriya, he is advised to persevere, even if it is difficult to fight with his family members or similarly beloved persons. Lord Caitanya took sannyāsa at the age of twenty-four, and His dependents, young wife as well as old mother, had no one else to look after them. Yet for a higher cause He took sannyāsa and was steady in the discharge of higher duties. That is the way of achieving liberation from material bondage.

영적 깨달음의 높은 경지에 이르겠다는 굳은 결심으로 행복과 불행의 맹공을 한결같이 견딜 수 있는 자는 분명 해방을 얻을 자격이 있는 사람이다. 바르나스라마 제도에서 네 번째 삶의 단계, 즉 버리는 삶의 질서(산냐사 sannyasa)는 고생스러운 위치이다. 그러나 자신의 삶을 완벽하게 하는 데 진지한 사람은 모든 어려움도 감수하고 분명 산냐사라는 삶의 질서를 받아들인다. 어려움은 주로 아내와 자식들을 포기하는, 가족 관계를 끊는 데서 온다. 그러나 그러한 어려움을 참을 수 있다면 영적 깨달음을 향한 길은 반드시 완성을 이룬다. 마찬가지로 아르주나는 끄샤뜨리야의 의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가족이나 자기가 아끼는 사람들과 싸우는 것이 어렵다고 하더라고 그것에 굴하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받는다. 주 짜이따냐는 스물네 살의 나이에 산냐사의 길을 택했고 당신의 젊은 아내와 늙은 모친을 돌볼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그러나 더 높은 목적을 위해 산냐사를 택했고 고차원적 의무를 꾸준히 수행하셨다. 이것이 바로 물질적 속박에서 해방을 얻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