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CHAPTER EIGHT

 제8장

Action in Knowledge of Kṛṣṇa

끄리쉬나에 관한 지식으로 하는 행위

na māṁ karmāṇi limpanti
 na me karma-phale spṛhā
iti māṁ yo ’bhijānāti
karmabhir na sa badhyate
나 맘 까르마니 림빤띠 na māṁ karmāṇi limpanti
나 메 까르마-빨레 스쁘리하 na me karma-phale spṛhā
이띠 맘 요’ 비자나띠 iti māṁ yo 'bhijānāti
까르마비르 나 사 바댜떼 karmabhir na sa badhyate  

“There is no work that affects Me; nor do I aspire for the fruits of action. One who understands this truth about Me also does not become entangled in the fruitive reactions of work.” (Bhagavad-gītā 4.14)

“어떤 것도 내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내가 행위의 결과를 바라는 것도 아니다. 나에 관한 이 진리를 이해하는 자는 일의 결과에 따르는 과보에 얽히지 않느니라.”  《바가바드 기따 4.14》       

The whole world is bound by karma. We all know of the existence of microbes, or germs which exist by the millions within the measurement of one millimeter. In the Brahma-saṁhitā it is stated that beginning with the microbe, which is called indragopa, up to Indra, the king of the heavenly planets, all are bound by karma, the reactions to work. We all have to suffer or enjoy the reactions of our work, be they good or bad. As long as we have to suffer or enjoy these reactions, we are bound to these material bodies.

온 세상은 까르마에 속박된다. 1mm보다 더 작은 수백만의 미생물이나 균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우리 모두 알고 있다. 브라흐마 삼히따는 인드라고빠(indragopa)라고 하는 미생물에서 시작하여 천국의 왕 인드라까지 모두 일의 과보인 까르마에 속박된다고 명시한다. 물질적 육신에 속박되어 있는 한 우리 모두 이런 과보들로 고통받거나 즐겨야 한다.

By nature’s arrangement the material body is given to the living entity for his suffering or enjoyment. Different types of bodies are acquired for different purposes. The body of a tiger is made for killing and eating raw meat. Similarly, the hogs are made in such a way that they can eat stool. And as human beings, our teeth are made for eating vegetables and fruits. All of these bodies are made according to the work done by the living entity in past lives. Our next bodies are being prepared according to the work we are now doing, but in the previously quoted verse, Śrī Kṛṣṇa indicates that those who know the transcendental nature of His activities become free from the reactions of their own activities. Our activities should be such that we will not again become entangled in this material world. This can be made possible if we become Kṛṣṇa conscious by studying Kṛṣṇa, learning of the transcendental nature of His activities, and understanding how He behaves in this material world and in the spiritual world.

생명체가 고통과 즐거움을 겪을 물질적 육신은 자연이 마련해줬다. 다른 종류의 육신은 서로 다른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얻어진 것이다. 호랑이의 몸은 다른 동물을 죽이고 먹게끔 되어있다. 마찬가지로 돼지는 변을 먹게 되어있다. 그리고 사람의 치아는 채소와 과일을 먹게 되어있다. 이 모든 육신은 생명체가 전생에 한 행위에 따라 얻어진 것이다. 우리가 받을 다음 육신은 우리가 현재 하는 행위에 따라 마련되지만, 앞서 인용했듯이 스리 끄리쉬나께서 당신의 행위에 관한 초월적 본성을 아는 자는 행위의 과보에서 벗어난다고 알려주셨다. 우리가 하는 행위는 이 물질계에 더는 얽히지 않도록 하는 행위여야 한다. 이것은 끄리쉬나에 관해 공부하고, 당신의 행위에 관한 초월적 본성을 배우며 물질계와 영계(靈界)에서 당신이 어떻게 행동하시는지를 이해함으로써 끄리쉬나 의식이 되면 가능해진다.

When Kṛṣṇa comes to this earth, He is not like us; He is totally transcendental. We desire the fruits of our activities, but Kṛṣṇa does not desire any fruits, nor are there any reactions to His actions. Nor does He have any desire for fruitive activity (na me karma-phale spṛhā). When we enter into business, we hope for profit, and with that profit we hope to buy things that will make our life enjoyable. Whenever conditioned souls do something, there is a desire for enjoyment behind it. But Kṛṣṇa has nothing to desire. He is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and He is full with everything. When Kṛṣṇa came to this earth He had many girlfriends and over 16,000 wives, and some people think that He was very sensual, but this was not the fact.

끄리쉬나께서 이 지구에 오셨을 때 당신은 우리와 같지 않으셨다. 전적으로 초월적이셨다. 우리는 우리 행위에 대한 결실을 갈망하지만 끄리쉬나께서는 어떤 결실도 바라지 않으실 뿐더러 당신의 행위에 어떤 과보도 존재하지 않는다. 당신은 결과 지향적인 어떤 행위를 갈망하지도 않으신다(나 메 까르마-빨레 스쁘리하: na me karma-phale spṛhā). 우리가 사업을 하면 이윤을 바라고 그 이윤으로 우리 삶을 더 즐길 수 있게 해 줄 각종 물품을 사기를 바란다. 속박된 영혼이 어떤 행위를 할 때마다 그 뒤에는 쾌락에 대한 욕망이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끄리쉬나께서는 아무 욕망도 없으시다. 당신은 최고 인격신이고 모든 것으로 충만하시다. 끄리쉬나께서 이 지구에 오셨을 때 여자 친구가 많았고, 16,000명이 넘는 부인도 있었기에 어떤 사람들은 그가 매우 호색가라 생각한다. 하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We must understand the meaning of relationships with Kṛṣṇa. In this material world we have many relationships as father, mother, wife, or husband. Whatever relationship we find here is but a perverted reflection of the relationship we have with the Supreme Lord. Whatever we find in this material world is born of the Absolute Truth, but here it is pervertedly reflected in time. Whatever relationship we have with Kṛṣṇa goes on. If we have a relationship in friendship, that friendship is eternal and continues from life to life. In the material world, a friendship exists for a few years and then breaks; therefore it is called perverted, temporary, or unreal. If we make our friendship with Kṛṣṇa, it will never break. If we make Kṛṣṇa our master, we will never be cheated. If we love Kṛṣṇa as our son, He will never die. If we love Kṛṣṇa as our lover, He will be the best of all, and there will be no separation. Because Kṛṣṇa is the Supreme Lord, He is unlimited and has an unlimited number of devotees. Some are trying to love Him as a lover or husband, and therefore Kṛṣṇa accepts this role. In whatever way we approach Kṛṣṇa, He will accept us, as He states in the Bhagavad-gītā (4.11)

우리는 끄리쉬나와의 관계가 뜻하는 바를 필히 이해해야 한다. 이 물질계에서 우리 역시 아버지, 어머니, 부인 혹은 남편이라는 많은 관계를 맺는다. 이곳에서 찾을 수 있는 관계가 무엇이든 지고의 신과 우리가 맺었던 관계의 그릇된 반영(反映)이다. 이 물질계에서 찾을 수 있는 어떤 관계든 절대 진리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이곳에서는 그릇되게 반영되었다. 우리가 끄리쉬나와 맺은 관계가 무엇이든 계속된다. 친구 관계를 맺었으면 그 우정은 영원하고 생을 거듭하여 계속된다. 물질계에서 우정은 몇 년 정도 유지되다 깨져버린다. 그러므로 그릇되고 일시적이며 실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우리가 끄리쉬나와 우정을 쌓으면 그것은 절대 깨지지 않을 것이다. 끄리쉬나를 우리 스승으로 삼으면 절대 기만당하지 않을 것이다. 끄리쉬나를 우리 자식으로 사랑하면 그는 절대 죽지 않을 것이다. 끄리쉬나를 연인으로 사랑하면 그는 최고의 연인이 될 것이고 헤어짐은 없을 것이다. 끄리쉬나께서는 지고의 신이시므로 무한하며 무한한 수의 헌애자와 함께하신다. 어떤이는 그를 연인 혹은 남편으로서 사랑하려고 노력하고, 따라서 끄리쉬나께서 그 역할을 수락하신다. 우리가 끄리쉬나께 다가가는 어떤 방식이든, 당신께서 바가바드 기따에서 말씀하신 대로 우리를 받아 주신다.

ye yathā māṁ prapadyante
 tāṁs tathaiva bhajāmy aham
mama vartmānuvartante
 manuṣyāḥ pārtha sarvaśaḥ
예 야타 맘 쁘라빠댠떼 ye yathā māṁ prapadyante
땀스 따타이바 바자미 아함 tāṁs tathaiva bhajāmy aham
마마 바르뜨마누바르딴떼 mama vartmānuvartante
마누샤하 빠르타 사르바샤하 manuṣyāḥ pārtha sarvaśaḥ

“As all surrender unto Me, I reward them accordingly. Everyone follows My path in all respects, O son of Pṛthā.”

“내게 항복하는 정도에 따라 나는 그에 상응하여 보답하느니라. 모든 면에서 모든 사람이 나의 길을 따르고 있다, 오 쁘리타의 아들이여.” 《바가바드 기따 4.11》       

The gopīs, or cowherd girlfriends of Kṛṣṇa, underwent tremendous penances in their previous lives to attain Kṛṣṇa as their husband. Similarly, in Śrīmad-Bhāgavatam, Śukadeva Gosvāmī says that those boys who were playing with Kṛṣṇa had undergone great penances and austerities in their previous lives in order to acquire Kṛṣṇa as a playmate. Thus the playmates, associates, and wives of Kṛṣṇa are not ordinary living entities. Because we have no idea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we take His activities as triflings, but actually they are sublime. All perfection of our desires is there; whatever desires we have constitutionally will be perfectly fulfilled when we are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끄리쉬나의 고삐(gopīs), 즉 소치기 여자 친구들은 여러 전생에서 끄리쉬나를 남편으로 얻고자 숱한 고행을 감수했다. 마찬가지로 스리마드 바가바땀에서 슈까데바 고스와미(Śukadeva Gosvāmī)께서 끄리쉬나와 어울리며 놀던 소년들은 여러 전생에서 끄리쉬나를 동무로 얻기 위해 숱한 고행과 금욕을 참아내었다고 한다. 그러므로 끄리쉬나의 동무와 동반자, 그리고 부인들은 평범한 생명체가 아니다. 우리가 끄리쉬나 의식에 관해 아무 이해가 없어서 끄리쉬나의 행위를 하찮은 행동으로 여기지만 실제로 당신의 행위는 숭고하다. 우리가 바라는 것의 모든 완성이 거기에 있다. 우리가 본래 품은 바람이 무엇이든 끄리쉬나 의식에 임했을 때 완벽하게 성취될 것이다.

Kṛṣṇa did not need any friends to play with Him, nor did He desire a single wife. We take on a wife because we have some desire to fulfill, but Kṛṣṇa is complete in Himself (pūrṇam). A poor man may desire to have a thousand dollars in the bank, but a rich man who has millions has no such desire. If Kṛṣṇa is the Supreme Personality of Godhead, why should He have desires? Rather, He fulfills the desires of others. Man proposes and God disposes. If Kṛṣṇa had any desire, He would be imperfect, for He would be lacking something. Therefore He says that He has no desire to fulfill. As Yogeśvara, or the master of all yogis, whatever He wills is immediately realized. There is no question of desire. He becomes a husband or lover or friend just to fulfill the desires of His devotees. If we accept Kṛṣṇa as friend, master, son, or lover, we will never be frustrated. Every living entity has a specific relationship with Kṛṣṇa, but at present this relationship is covered. As we advance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it will be revealed.

끄리쉬나께서는 당신과 함께 놀 어떤 친구도 필요치 않으시며 단 한 명의 부인도 바라지 않으신다. 우리는 이루고 싶은 바람이 있어 부인을 한 명 두지만, 끄리쉬나께서는 스스로 완전하시다(뿌르남: pūrṇam). 가난한 자는 은행에 천만 원이 있으면 좋겠다고 바라지만 수십억 원을 가진 부자는 그런 바람이 없다. 끄리쉬나께서 최고 인격신이라면 왜 무언가를 바라야 하는가? 오히려 당신께서는 다른 이의 욕망을 이루어주신다. 인간이 제안하고 절대신께서 처리하신다. 만일 끄리쉬나께서 어떤 욕망을 갖고 계신다면 무언가가 부족하다는 뜻이므로 그는 불완전한 존재일 것이다. 그러므로 끄리쉬나께서는 성취해야 할 어떤 욕망도 없다고 말씀하신다. 요게스바라(Yogeśvara), 즉 모든 요가의 스승으로서 당신이 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이든 즉시 실현된다. 끄리쉬나께서는 당신의 헌애자들의 욕망을 그저 이루어 주시고자 남편 혹은 연인, 친구가 되신다. 끄리쉬나를 친구로, 스승으로, 아들이나 연인으로 받아들인다면 절망할 일은 절대 없을 것이다. 모든 생명체는 끄리쉬나와 특정한 관계를 맺고 있지만 현재 이 관계는 가려졌다. 끄리쉬나 의식 안에서 발전을 이룸에 따라 이 관계는 드러날 것이다.

Although the Supreme Lord is full and has nothing to do, He works in order to set an example. He is not bound to His activities in the material world, and one who knows this also becomes free from activities that bring karmic reaction.

지고의 신은 스스로 충만하시고 해야 할 일이 없음에도 본보기를 확립하기 위해 일하신다. 당신의 행위는 물질계에 속박되지 않고, 이것을 이해한 자 또한 과보적 행위에서 벗어나게 된다.

evaṁ jñātvā kṛtaṁ karma
 pūrvair api mumukṣubhiḥ
kuru karmaiva tasmāt tvaṁ
 pūrvaiḥ pūrvataraṁ kṛtam
에밤 갸뜨바 끄리땀 까르마 evaṁ jñātvā kṛtaṁ karma
뿌르바이 라삐 무묵슈비히 pūrvair api mumukṣubhiḥ
꾸루 까르마이바 따스맛 뜨밤 kuru karmaiva tasmāt tvaṁ
뿌르바이히 뿌르바따람 끄리땀 pūrvaiḥ pūrvataraṁ kṛtam

“All the liberated souls in ancient times acted with this understanding of My transcendental nature, and so attained liberation. Therefore, you should perform your duty, following in their footsteps.” (Bhagavad-gītā 4.15)

“아주 먼 옛날 해방된 영혼들은 내 초월적 본성에 대한 이 이해를 바탕으로 행동하였느니라. 그러므로 너 역시 그들의 발자취를 따라 네 의무를 수행하여라.” 《바가바드 기따 4.15》       

The process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requires that we follow in the footsteps of the great ācāryas who have attained success in spiritual life. If one acts by following the examples set by great ācāryas, sages, devotees, and enlightened kings who have performed karma-yoga in their lives, he shall also become free.

끄리쉬나 의식의 과정은 영적 삶에 성공한 위대한 아짜리아들(ācāryas )의 발자취를 따르는 것을 필요로 한다. 위대한 아짜리아, 성인, 헌애자, 그리고 생애를 통해 까르마 요가를 실천한 현명한 왕들이 세운 본보기를 따라 행동하면 우리도 해방하게 된다.

On the Battlefield of Kurukṣetra, Arjuna was very much afraid of being entangled in his activities by engaging in warfare. Kṛṣṇa therefore assured him that if he fought for His sake there would be no possibility of entanglement.

   꾸룩쉐뜨라(Kurukṣetra) 전장에서 아르주나는 전쟁에 가담하는 자기 행위가 과보를 낳게 될 것을 몹시 두려워했다. 그러므로 끄리쉬나께서는 당신을 위해 싸우면 과보에 얽힐 가능성은 없다고 확신시켜 주신다.

kiṁ karma kim akarmeti
 kavayo ’py atra mohitāḥ
tat te karma pravakṣyāmi
 yaj jñātvā mokṣyase ’śubhāt
낌 까르마 낌 아까르메띠 kiṁ karma kim akarmeti
까바요’뺘뜨라 모히따하 kavayo 'py atra mohitāḥ
땃 떼 까르마 쁘라박샤미 tat te karma pravakṣyāmi
야 갸뜨바 목샤세’슈밧 yaj jñātvā mokṣyase 'śubhāt

“Even the intelligent are bewildered in determining what is action and what is inaction. Now I shall explain to you what action is, knowing which you shall be liberated from all misfortune.” (Bhagavad-gītā 4.16)

“지성 있는 자들조차 무엇이 행위이며, 무엇이 무위(無爲)인지에 혼동하느니라. 이제 너에게 무엇이 행위인지를 설명할 터이니, 이를 알면 모든 불행에서 벗어나게 되리라.” 《바가바드 기따 4.16》       

People are actually confused as to what is work (karma) and what is not work (akarma). Kṛṣṇa here indicates that even great scholars (kavayaḥ) are bewildered about the nature of work. It is necessary to know which activities are genuine and which are not, which are bona fide and which are not, which are prohibited and which are not. If we understand the principle of work, we can become free from material bondage.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know how to conduct work so that when we leave the material body we will no longer be forced to take another but will be free to enter the spiritual sky. The principle of proper work is clearly stated by Śrī Kṛṣṇa in the last verse (55) of the eleventh chapter:

사람들은 실제로 무엇이 일(까르마: karma)이고 무엇이 일이 아닌지(아까르마: akarma) 혼란스러워한다. 끄리쉬나께서 위대한 학자들(까바야하: kavayaḥ)조차도 일의 본성에 대해 혼란스러워한다고 여기서 지적하신다. 어떤 행위가 참되고 어떤 행위가 그렇지 않은지, 진정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 금지되었고 금지되지 않은 것이 무엇인지 아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가 일의 원칙을 이해하면 물질적 속박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어떻게 일을 해야 하는지를 아는 것은 필수적이고, 이렇게 하면 우리가 물질적 육신을 떠날 때 다른 몸을 더 받아야 할 필요가 없어지며 영적 하늘(spiritual sky)로 자유롭게 들어갈 수 있게 될 것이다. 올바른 일의 원칙은 스리 끄리쉬나께서 제11장 마지막 구절에서 명백히 알려주신다.

mat-karma-kṛn mat-paramo
 mad-bhaktaḥ saṅga-varjitaḥ
nirvairaḥ sarva-bhūteṣu
 yaḥ sa mām eti pāṇḍava
맛-까르마-끄린 맛-빠라모 mat-karma-kṛn mat-paramo
마드-박따하 상가-바르지따하 mad-bhaktaḥ saṅga-varjitaḥ
니르바이라하 사르바-부떼슈 nirvairaḥ sarva-bhūteṣu
야하 사 맘 에띠 빤다바 yaḥ sa mām eti pāṇḍava

“My dear Arjuna, he who engages in My pure devotional service, free from the contaminations of fruitive activities and mental speculation, he who works for Me, who makes Me the supreme goal of his life, and who is friendly to every living being – he certainly comes to Me.”

“소중한 아르주나여, 나를 향한 순수한 봉헌에 종사하며 이전에 한 행위들의 더러움과 관념적 추론에서 벗어나 모든 생명체에게 친절한 자는 반드시 나에게 오느니라.” 《바가바드 기따 11.55》       

This one verse is sufficient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Gītā. One must be engaged in “My work.” What is this work? It is indicated in the last instruction in the Gītā (18.66), in which Kṛṣṇa tells Arjuna to surrender to Him.

이 한 구절이 바가바드 기따의 정수(精髓)를 이해하기에 충분하다. 반드시 “나(끄리쉬나)의 일”에 종사해야 한다. 그 일이란 무엇인가? 끄리쉬나께서 아르주나에게 당신께 항복하라고 하신 바가바드 기따의 마지막 가르침 안에 드러나 있다(바가바드 기따 18.66).

By the example of Arjuna we are to learn that we should only perform work that is sanctioned by Kṛṣṇa. This is the mission of human life, but we do not know it. Because of our ignorance we engage in so much work that is connected with the bodily or material conception of life. Kṛṣṇa wanted Arjuna to fight, and although Arjuna did not want to fight, he fought because Kṛṣṇa desired it. We have to learn to follow this example.

아르주나의 예를 통해 끄리쉬나께서 허가하신 일만을 해야 한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다. 이것이 인생의 사명이지만 우리는 이에 대해 알지 못한다. 육체적 혹은 물질적 개념의 삶에 얽매여 다양한 일에 종사하는 무지 탓에 이것을 알지 못한다. 끄리쉬나께서는 아르주나가 싸우길 원하셨고 비록 아르주나는 싸우고 싶지 않았지만 끄리쉬나께서 원하셨기 때문에 결국 싸웠다. 우리는 이 예를 따르도록 배워야 한다.

Of course, Kṛṣṇa was present to tell Arjuna what his work was, but what about us? Śrī Kṛṣṇa was personally directing Arjuna to act in such and such a way, but just because Kṛṣṇa is not personally present before us we should not assume there is no direction. Indeed, there is direction. In the last chapter of the Bhagavad-gītā the proper work we are to perform is given.

물론 끄리쉬나께서는 직접 아르주나에게 어떤 일을 하라고 말씀해 주셨지만 우리의 경우는 어떠한가? 스리 끄리쉬나께서 아르주나에게 친히 이렇게, 저렇게 하라고 지도하시는 데 반해, 우리 앞에는 친히 계시지 않다고 아무 지도 사항이 없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사실, 우리에게도 지도 사항은 있다. 바가바드 기따의 마지막 장에 우리가 해야 할 올바른 일에 관한 정보를 주셨다.

ya idaṁ paramaṁ guhyaṁ
 mad-bhakteṣv abhidhāsyati
bhaktiṁ mayi parāṁ kṛtvā
 mām evaiṣyaty asaṁśayaḥ
야 이담 빠라맘 구햠 ya idaṁ paramaṁ guhyaṁ
마드-박떼쉬 바비다샤띠 mad-bhakteṣv abhidhāsyati
박띰 마이 빠람 끄릿바 bhaktiṁ mayi parāṁ kṛtvā
맘 에바이샤띠 아삼샤야하 mām evaiṣyaty asaṁśayaḥ
na ca tasmān manuṣyeṣu
 kaścin me priya-kṛttamaḥ
bhavitā na ca me tasmād
 anyaḥ priyataro bhuvi
나 짜 따스만 마누셰슈 na ca tasmān manuṣyeṣu
까스찐 메 쁘리야-끄릿따마하 kaścin me priya-kṛttamaḥ
바비따 나 짜 메 따스맏 bhavitā na ca me tasmād
안야하 쁘리야따로 부비 anyaḥ priyataro bhuvi

“For one who explains this supreme secret to the devotees, pure devotional service is guaranteed, and at the end he will come back to Me. There is no servant in this world more dear to Me than he, nor will there ever be one more dear.” (Bhagavad-gītā 18.68–69)

“최고의 비밀을 헌애자들에게 설명하는 자에게 봉헌은 보장되며 그들은 결국 나에게 올 것이다. 이 세상에서 그보다 더 소중한 종은 내게 없으며, 앞으로도 없을 것이니라.” 《바가바드 기따 18.68~69》       

It is therefore incumbent on us to preach the method of the Bhagavad-gītā and make people Kṛṣṇa conscious. People are actually suffering for want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We should all engage in spreading the science of Kṛṣṇa for the benefit of the whole world. Lord Caitanya Mahāprabhu came with this mission of teaching Kṛṣṇa consciousness, and He said that regardless of one’s position, if he teaches Kṛṣṇa consciousness he is to be considered a spiritual master. Both the Bhagavad-gītā and Śrīmad-Bhāgavatam are filled with information on how to become Kṛṣṇa conscious. Lord Caitanya Mahāprabhu selected these two books and requested that people in all corners of the world spread this science of Kṛṣṇa in every town and village. Lord Caitanya Mahāprabhu was Kṛṣṇa Himself, and we should take this to be Kṛṣṇa’s indication of our proper work. But we should be careful to present the Bhagavad-gītā as it is, without personal interpretation or motivation. Some people present interpretations of the Bhagavad-gītā, but we should present the words as they are spoken by Śrī Kṛṣṇa.

그러므로 바가바드 기따를 전파하고 사람들을 끄리쉬나 의식이 되게 하는 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책무다. 실제로 사람들은 끄리쉬나 의식이 없어 고통받고 있다. 우리 모두 전 세계를 위해 끄리쉬나의 과학을 널리 알리는 데 참여해야 한다. 짜이따냐 마하쁘라부께서는 끄리쉬나 의식을 가르치기 위해 오셨고 신분에 상관없이 끄리쉬나 의식을 가르치면 그 사람을 영적 스승으로 여겨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바가바드 기따와 스리마드 바가바땀 모두 끄리쉬나 의식이 되는 방법으로 가득 차 있다. 짜이따냐 마하쁘라부께서는 이 두 책을 선택하셨고 이 세상 모든 사람에게 모든 마을과 동네에 이 끄리쉬나의 과학을 전파하라고 요청하셨다. 짜이따냐 마하쁘라부께서는 끄리쉬나 당신이셨고, 당신의 가르침을 끄리쉬나의 지시 사항으로 받아들이고 올바른 임무에 종사해야 한다. 그러나 바가바드 기따를 개인적 해석이나 동기 없이 있는 그대로 전하도록 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어떤 사람들은 바가바드 기따에 자신의 해석을 더해 설명하지만 우리는 스리 끄리쉬나께서 말씀하신 단어 하나하나 있는 그대로 제시해야 한다.

One who works for Kṛṣṇa may appear to be working like anyone else in the material world, but this is not the case. Arjuna may have fought just like an ordinary military man, but because he fought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he was free from the entanglement of his activities. In this way, his work, although appearing material, was not material at all. Any action sanctioned by Kṛṣṇa – regardless of what it may be – has no reaction. Fighting may not be a very nice thing, but sometimes, as in the case of the Battle of Kurukṣetra, it is an absolute necessity. On the other hand, we may perform work that may be very altruistic or humanitarian in the opinion of the world and yet be bound to material activity. So it is not the action itself that is important but the consciousness in which the action is carried out. Bhagavad-gītā (4.17) says:

끄리쉬나를 위해 일하는 자는 물질계의 다른 사람들이 일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보일지라도 사실은 그렇지 않다. 아르주나가 평범한 전사처럼 싸웠을지라도 끄리쉬나 의식으로 싸웠기 때문에 그가 한 행위의 얽힘에서 벗어났다. 이런 식으로 그의 행위가 물질적으로 보일지라도 전혀 물질적인 것이 아니었다. 끄리쉬나께서 허가하신 어떤 행위라도 그게 무엇이든 상관없이 과보는 없다. 싸움이 전혀 좋은 일이 아닐지라도 가끔은, 꾸룩쉐뜨라 전투처럼 절대적으로 필요한 때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세상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매우 이타적이며 인도주의적인 행위를 할지라도 여전히 물질적 행위에 속박된다. 그러므로 행위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행위를 할 때의 의식이 중요하다.

karmaṇo hy api boddhavyaṁ
 boddhavyaṁ ca vikarmaṇaḥ
akarmaṇaś ca boddhavyaṁ
 gahanā karmaṇo gatiḥ
까르마노 히 아삐 볻다뱜 karmaṇo hy api boddhavyaṁ
볻다뱜 짜 비까르마나하 boddhavyaṁ ca vikarmaṇaḥ
아까르마나스 짜 볻다뱜 akarmaṇaś ca boddhavyaṁ
가하나 까르마노 가띠히 gahanā karmaṇo gatiḥ

“The intricacies of action are very hard to understand. Therefore one should know properly what action is, what forbidden action is, and what inaction is.”

“행위의 미묘함을 이해하기란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행위가 무엇인지, 금지된 행위가 무엇인지, 그리고 무위가 무엇인지 올바로 알아야 한다.” 《바가바드 기따 4.17》       

The path of karma is intricate; therefore we should understand the distinctions between karma, akarma, and vikarma. If we simply engage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everything becomes clear. Otherwise we will have to make distinctions between what we should do and what we should not do in order not to become entangled. In the ordinary course of life we unknowingly break some law and have to suffer the consequences. Similarly, the laws of nature are very strict and stringent, and they accept no excuse. It is a law of nature that fire burns, and even if a child touches it, he will be burned despite his ignorance and innocence. Thus we have to choose our course of action very carefully lest the stringent laws of nature react to bind us to suffering.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understand what work to do and what work to avoid.

까르마의 경로는 매우 복잡하다. 그러므로 까르마(karma)와 아까르마(akarma), 비까르마(vikarma)의 차이에 관해 이해해야 한다. 끄리쉬나 의식에 임하기만 하면 이 모든 것이 분명해진다. 그렇지 않으면 얽매이지 않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하는 것과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의 구분을 반드시 해야 할 것이다. 일상적인 삶 속에서 우리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 어떤 법을 어기고 결국 고통받아야 한다. 마찬가지로 자연의 법은 매우 엄격하고 가혹해 어떤 변명도 허용하지 않는다. 아무리 아이가 무지하고 순진한 탓에 불을 만져도 화상을 입게 되는 것이 자연의 법이다. 따라서 가혹한 자연의 법이 우리를 고통으로 속박하지 않도록 우리의 행동 방향을 매우 조심스럽게 선택해야 한다. 그러므로 어떤 행위를 해야 하고 어떤 행위를 피해야 하는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The word karma refers to prescribed duties; the word vikarma refers to activities against prescribed duties; and the word akarma refers to activities with no reaction at all. In the execution of akarmic activities there may appear to be some reactions, but in actuality there are not. When we work under the directions of Kṛṣṇa, this is actually the case – there are no reactions. If we take it upon ourselves to kill someone, we are subject to capital punishment by the state government. Our actions are then called vikarma, for they are against prescribed actions. If, however, the government drafts us into the army, and we engage in battle and kill someone, we do not suffer the reactions, and this is called akarma. In the one case we are acting according to our own whims, and in the other we are acting under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 Similarly, when we act under Kṛṣṇa’s direction, the actions we perform are called akarma, for that kind of activity has no reaction.

까르마라는 단어는 규정된 의무를 의미한다. 비까르마는 규정된 의무에 반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아까르마는 과보가 전혀 없는 행위를 의미한다. 아까르마의 행위를 할 때 과보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다. 끄리쉬나의 지시대로 행동할 때가 바로 그러한데, 거기에는 어떤 과보도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가 자발적으로 누군가를 죽이면 국법에 따라 사형이나 종신형에 처해진다. 이런 행위는 규정된 행위에 반하므로 비까르마라 불린다. 그러나 만일 국가가 우리를 군대에 징병하여 전쟁에서 사람을 죽이면 과보로 고통받지 않고 이것을 아까르마라고 한다. 한 경우는 자기 일시적인 기분에 따라 한 행동이고, 다른 경우는 국가의 지시에 따라 한 행동이다. 마찬가지로, 끄리쉬나의 지시대로 행동할 때 그런 행위는 아무 과보도 남기지 않으므로 아까르마라고 한다.

karmaṇy akarma yaḥ paśyed
 akarmaṇi ca karma yaḥ
sa buddhimān manuṣyeṣu
 sa yuktaḥ kṛtsna-karma-kṛt
까르마니 아까르마 야하 빠쉐드 karmaṇy akarma yaḥ paśyed
아까르마니 짜 까르마 야하 akarmaṇi ca karma yaḥ
사 붓디만 마누쉐슈 sa buddhimān manuṣyeṣu
사 육따하 끄릿스나-까르마-끄릿 sa yuktaḥ kṛtsna-karma-kṛt

“One who sees inaction in action, and action in inaction, is intelligent among men, and he is in the transcendental position, although engaged in all sorts of activities.” (Bhagavad-gītā 4.18)

“행위 속에서 무위를 보고 무위 속의 행위를 보는 자는 사람들 안에서 지성 있는 자이고, 그가 어떤 행위를 하더라도 초월적 위치에 있는 것이다.” 《바가바드 기따 4.18》       

One who can actually see that despite activities there are no karmic reactions, who understands the nature of akarma, actually sees things as they are. The word akarmaṇi refers to one who is trying to avoid the reactions of karma. By dovetailing one’s activities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although one may perform all kinds of activities, he is free. On the Battlefield of Kurukṣetra, Arjuna engaged in fighting, and those on the side of Duryodhana also engaged in fighting. We must understand how it is that Arjuna is free from reaction whereas Duryodhana is not. Externally we can see that both parties are engaged in fighting, but we should understand that Arjuna is not bound by reactions because he is fighting under the order of Kṛṣṇa. Thus when we see someone working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we should understand that his work does not carry any reaction. One who can see such work and understand it is to be considered very intelligent (sa buddhimān). The technique is not so much in seeing what a person is doing but in understanding why he is doing it.

이것을 실제로 이해한 자는 행위를 해도 그 행위에 어떤 과보도 없으며, 아까르마의 본성을 이해한 자는 실제로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다. 아까르마니(akarmaṇi)라는 단어는 까르마의 과보를 피하려고 노력하는 자를 일컫는다. 자기 행위를 끄리쉬나 의식과 긴밀히 연결 지음으로써 어떤 행위를 할지라도 그는 자유롭다. 꾸룩쉐뜨라 전장에서 아르주나는 싸움에 임했고 두료다나 편 또한 싸움에 임했다. 아르주나는 과보에서 벗어나지만 두료다나는 그렇지 않다는 사실을 반드시 이해해야 한다. 외적으로는 양 진영 모두 싸움에 임하고 있지만 아르주나는 끄리쉬나의 명령에 따라 싸우고 있으므로 과보에 구속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누군가가 끄리쉬나 의식 안에서 일하는 것을 보면 그의 행위는 어떤 과보도 초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그런 행위를 이해하면 매우 현명하다고 여겨진다(사 붓디만). 사람이 무엇을 하는지 보는 것보다 왜 하는지를 이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Actually Arjuna was engaged in very unpleasant activity on the battlefield, but because he was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he suffered no reaction. We may be performing some action which we may consider to be very good work, but if we do not perform it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we have to suffer the reactions. From the material point of view Arjuna’s initial decision not to fight was a good one, but from the spiritual point of view it was not. When we do pious work, we get certain results. We may take a birth in a very good family – in the family of a brāhmaṇa or a wealthy man – we may become very rich or very learned, or we may become very beautiful. On the other hand, if we do impious work, we may have to take birth in a low-class or animal family, or become illiterate or foolish, or very ugly. Although we engage in very pious work and take a good birth, we will still be subject to the stringent laws of action and reaction. Our principal aim should be to escape the laws of this material world. If we don’t understand this, we will become attracted by aristocratic families, wealth, a good education, or a beautiful body. We should come to understand that despite having all these facilities for material life, we are not free from birth, old age, disease, and death. To caution us about this, Śrī Kṛṣṇa warns in the Bhagavad-gītā (8.16):

사실 아르주나는 전장에서 매우 불쾌한 행위에 임하고 있지만 그가 끄리쉬나 의식 안에 있으므로 과보로 고통받지 않았다. 우리가 생각하기에 아주 좋은 어떤 행위를 할지라도 끄리쉬나 의식 안에서 실천하지 않으면 과보로 고통받아야 한다. 물질적 관점에서 싸우지 않겠다는 아르주나의 첫 결심은 훌륭한 것이었으나 영적 관점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우리가 경건한 행위를 하면 특정한 결과를 얻게 된다. 매우 훌륭한 가문이나 브라흐마나 혹은 부유한 집에서 태어나 아주 부유하거나 학식이 매우 높거나 혹은 무척 아름다울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불경한 행위를 하면 낮은 신분의 가정이나 혹은 동물 가족 안에서 태어나거나 문맹이나 바보 혹은 몹시 추한 모습이 된다. 비록 아주 경건한 행위를 하여 좋은 출생을 하게 되더라도 여전히 행위와 과보라는 가혹한 법칙에 속박된다. 우리의 주목적은 이 물질계에서 탈출하는 것이어야 한다. 만일 이것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귀족 가문이나 부유한 가족, 혹은 고학력이나 아름다운 몸에 사로잡히게 될 것이다. 물질적 삶을 위한 이런 편의를 모두 소유하고 있더라도 생로병사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하는 단계에 이르러야 한다. 우리가 이것을 경계하도록 스리 끄리쉬나께서 바가바드 기따에서 다음과 같이 경고하신다.

ābrahma-bhuvanāl lokāḥ
 punar āvartino ’rjuna
mām upetya tu kaunteya
 punar janma na vidyate
아-브라흐마-부바날 로까하 ābrahma-bhuvanāl lokāḥ
뿌나르 아바르띠노’르주나 punar āvartino 'rjuna
맘 우뻬땨 뚜 까운떼야 mām upetya tu kaunteya
뿌나르 잔마 나 비댜떼 punar janma na vidyate

“From the highest planet in the material world down to the lowest, all are places of misery wherein repeated birth and death take place.

“물질계의 가장 높은 행성에서 가장 낮은 행성에 이르기까지 모든 곳은 생사가 반복되는 고통스런 곳이다. 그러나 나의 보금자리에 이르는 자는, 오 꾼띠의 아들이여, 두 번 다시 태어나지 않느니라.” 《바가바드 기따 4.16》       

Even on Brahmaloka, the highest planet in the material universe, repetition of birth and death are also present. We have to go to Kṛṣṇa’s planet in order to be free from this. It may be very nice to be a rich or beautiful person, but how long shall we remain such? That is not our permanent life. We may remain learned, rich, and beautiful for fifty, sixty, or at most a hundred years, but real life is not for fifty or a hundred years, nor a thousand years, nor even a million years. We are eternal, and we have to attain our eternal life. That we have not attained it is our whole problem. That problem can be solved when we are Kṛṣṇa conscious.

물질적 우주에서 가장 높은 행성인 브라흐마로까에조차 생사의 반복이 존재한다. 이것에서 벗어나려면 끄리쉬나의 행성에 반드시 가야 한다. 아주 부유하거나 아름다운 사람이 되면 무척 좋을지도 모르나 그렇게 얼마나 오래 머물 수 있는가? 그것은 우리의 영원한 삶이 아니다. 지적이고, 부유하고 아름답게 50년, 60년 혹은 최대 100년을 산다고 해도 진정한 삶은 50년 혹은 100년, 1000년 심지어 100만 년도 아니다. 우리는 영원한 존재이고, 이 영원한 삶을 얻어야 한다. 그것을 얻지 않은 것이 우리가 직면한 총체적 문제다. 그 문제는 끄리쉬나 의식일 때 해결될 수 있다.

If we leave this material body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we will no longer have to return to the material world. The point is to avoid this material existence altogether. It is not a question of improving our condition in the material world. In prison a man may want to improve his condition to become a first-class prisoner, and the government may give him A status, but no sane man will become satisfied by becoming an A-class prisoner. He should desire to get out of the prison altogether. In the material world some of us are A-class, B-class, or C-class prisoners, but in any case we are all prisoners. Real knowledge does not consist in simply getting an MA or PhD but in understanding these basic problems of existence.

우리가 이 물질계를 떠날 때 끄리쉬나 의식에 있으면 물질계로 더 되돌아오지 않아도 된다. 요점은 이 물질적 존재를 완전히 벗어나는 데 있다. 물질계에서의 우리 상황을 향상하고 말고의 문제가 아니다. 감옥에서 죄수가 일급 죄수가 되려고 자기 상황을 향상하려고 노력하면 결국 국가에서 그에게 최고 지위를 줄지도 모르나 어떤 올바른 정신을 가진 사람이라도 특급 죄수가 되어 만족하지는 않을 것이다. 감옥에서 완전히 나가는 것을 바라야 한다. 물질계에서 우리 중 누구는 일류, 이류, 혹은 삼류 죄수이지만, 어쨌든 우리는 모두 죄수다. 진정한 지식은 그저 석사나 박사 학위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존재의 이런 기본 문제를 이해하는 데 있다.

yasya sarve samārambhāḥ
 kāma-saṅkalpa-varjitāḥ
jñānāgni-dagdha-karmāṇaṁ
 tam āhuḥ paṇḍitaṁ budhaḥ
야사 사르베 사마람바하 yasya sarve samārambhāḥ
까르마-상깔빠-바르지따하 kāma-saṅkalpa-varjitāḥ
갸나그니-닥다-까르마남 jñānāgni-dagdha-karmāṇaṁ
땀 아후 빤디땀 부다하 tam āhuḥ paṇḍitaṁ budhaḥ

“One is understood to be in full knowledge whose every endeavor is devoid of desire for sense gratification. He is said by sages to be a worker for whom the reactions of work have been burned up by the fire of perfect knowledge.” (Bhagavad-gītā 4.19)

“감각 만족을 향한 욕망 없이 모든 노력을 기울이는 자를 두고 완전한 지식을 갖춘 자라고 한다. 성자들이 말하기를, 이런 사람은 완벽한 지식의 불꽃으로 모든 일의 과보를 완전히 태워 없애버린 행위자라 하느니라.” 《바가바드 기따 4.19》       

The word paṇḍitam means “learned,” and budhāḥ means “well versed.” In the tenth chapter we also find the word budhāḥ in the verse budhā bhāva-samanvitāḥ (Bhagavad-gītā 10.8). According to the Bhagavad-gītā, one may not be a learned man just because he has received a lot of education from a university. The Bhagavad-gītā (5.18) says that he is a learned man who can see everything on an equal level.

빤디땀(paṇḍitam)이란 단어는 배웠다는 것을 의미하고, 부다하(budhāḥ)는 정통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0장에서 부다 바바-사만비따하(budhā bhāva-samanvitāḥ)라는 절에서도 부다하를 찾을 수 있다(바가바드 기따 10.8). 바가바드 기따에 따르면 대학교에서 많은 교육을 받았다고 해서 배운 자가 아니다. 바가바드 기따는 배운 자는 모든 것을 동등하게 볼 수 있는 자라고 한다.

vidyā-vinaya-sampanne
 brāhmaṇe gavi hastini
śuni caiva śva-pāke ca
 paṇḍitāḥ sama-darśinaḥ
비댜-비나야-삼빤네 vidyā-vinaya-sampanne
브라흐마네 가비 하스띠니 brāhmaṇe gavi hastini
슈니 짜이바 스바-빠께 짜 śuni caiva śva-pāke ca
빤디따하 사마-다르시나하 paṇḍitāḥ sama-darśinaḥ

“The humble sages, by virtue of true knowledge, see with equal vision a learned and gentle brāhmaṇa, a cow, an elephant, a dog, and a dog-eater [outcaste].”

“겸허한 성인들은 진정한 지식의 힘으로 학식과 교양이 있는 브라흐마나, 소, 코끼리, 개 그리고 개를 먹는 자(카스트 밖의 사람들)를 차별 없이 같은 눈으로 보느니라.” 《바가바드 기따 5.18》       

In India, according to Vedic civilization, a brāhmaṇa who is learned is considered to be the topmost man in human society. The paṇḍita, who is learned and gentle, sees such a brāhmaṇa on the same level with a dog or an outcaste who eats dogs. In other words, he sees no distinctions between the highest and the lowest. Is this to say that being a learned brāhmaṇa is no better than being a dog? No, that is not so. But the paṇḍita sees them as the same because he does not see the skin but the spirit. One who has learned the art of seeing the same spirit soul within every living being is considered to be a paṇḍita, for in actuality every living being is a spiritual spark, part and parcel of the complete spirit whole. The spiritual spark is the same in all, but it is covered by different dresses. An honored man may come in a very shabby dress, but this does not mean that he should be dishonored. In the Bhagavad-gītā (2.22) these material bodies are likened to dresses that are worn by the spirit soul.

인도에서는 베다 문명에 따라 지식을 갖춘 브라흐마나를 인류 중 가장 높은 인간으로 여긴다. 지식을 갖춘 온화한 빤디따(paṇḍita)는 그런 브라흐마나와 개 혹은 카스트 밖에 있는 개 먹는 자들을 같은 눈으로 본다. 다른 말로 하면, 그는 가장 높고 가장 낮은 것에 구별을 두지 않는다. 학식을 갖춘 브라흐마나가 개보다 못하단 말인가? 그렇지 않다. 그러나 빤디따는 피부를 보지 않고 영혼을 보므로 그들을 모두 똑같이 본다. 모든 생명체 안에 깃든 똑같은 영혼을 보는 법을 배운 자는 빤디따로 간주하는데, 실제로 모든 생명체는 완전한 총체 영혼(절대신)의 부분인 영적 불꽃이기 때문이다. 영적 불꽃은 모두 같지만 다른 옷으로 덮여있을 뿐이다.  명예로운 자가 매우 남루한 옷을 입고 왔을지라도 그가 불명예스러워야 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바가바드 기따에서 이 물질적 육신은 영혼이 입고 있는 옷과 같다고 한다.

vāsāṁsi jīrṇāni yathā vihāya
 navāni gṛhṇāti naro parāṇi
tathā śarīrāṇi vihāya jīrṇāny
 anyāni saṁyāti navāni dehī
바삼시 지르나니 야타 비하야 vāsāṁsi jīrṇāni yathā vihāya
나바니 그리흐나띠 나로’빠라니 navāni gṛhṇāti naro parāṇi
따타 샤리라니 비하야 지르나니 tathā śarīrāṇi vihāya jīrṇāny
아냐니 삼야띠 나바니 데히 anyāni saṁyāti navāni dehī

“As a person puts on new garments, giving up old ones, the soul similarly accepts new material bodies, giving up the old and useless ones.”

“헌 옷을 버리고 새 옷을 입듯이 영혼은 늙고 쓸모없는 육신을 버리고 새로운 육신을 얻는다.”《바가바드 기따 2.22》        

Whenever we see any living entity we should think, “Here is a spirit soul.” Anyone who can understand such a spiritual vision of life is a paṇḍita. Cāṇakya Paṇḍita gives the standard for education, or the qualification of a paṇḍita, in this way: “The learned man sees all women, with the exception of his wife, as his mother; he sees all material possessions as garbage in the street; and he looks on the sufferings of others as he would look on them in himself.” Lord Buddha taught that we should not even hurt animals by word or deed. This is the qualification for a paṇḍita, and this should be the standard of lif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one is to be considered educated in accordance with his vision of life and his activity in accordance with that vision, not by his academic degrees. This is the understanding of the word paṇḍita from the Bhagavad-gītā. Similarly, the word budhāḥ specifically refers to one who is well versed in the study of scripture. The results of such realization and scriptural learning are thus described in the Bhagavad-gītā (10.8):

어떤 생명체를 볼 때마다 “여기에 영혼이 있다.”라고 생각해야 한다. 삶을 사는 데 있어 이런 영적 시각을 가진 누구라도 빤디따(paṇḍita)이다. 짜나꺄 빤디따(Cāṇakya Paṇḍita)는 교육의 기준, 즉 빤디따가 될 자격이 될 기준을 이렇게 삼았다. “학식 있는 자는 자기 아내를 제외한 모든 여성을 어머니로 여겨야 한다. 그는 모든 물질적 소유를 길에 나뒹구는 쓰레기로 보고, 다른 이의 고통을 자기 고통처럼 여길 수 있어야 한다.” 부처님은 말이나 행동으로 동물조차 해치면 안 된다고 가르치셨다. 이것이 빤디따의 자격이고 이것이 삶의 표준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자기 삶과 행동이 자기가 지닌 삶에 대한 통찰력과 일치할 때 교육받은 자라고 여겨야지, 그 사람의 학위에 따라 교육받은 자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이것이 바가바드 기따에서 말하는 빤디따의 의미다. 마찬가지로 부다하(budhāḥ)란 단어는 특정적으로 경전에 정통한 자를 일컫는다. 그런 깨달음과 경전 학습의 결과는 바가바드 기따에 이렇게 묘사되어 있다.

ahaṁ sarvasya prabhavo
 mattaḥ sarvaṁ pravartate
iti matvā bhajante māṁ
 budhā bhāva-samanvitāḥ
아함 사르바샤 쁘라빠보 ahaṁ sarvasya prabhavo
맛따하 사르밤 쁘라바르따떼 mattaḥ sarvaṁ pravartate
이띠 마뜨바 바잔떼 맘 iti matvā bhajante māṁ
부다 바바-사만비따하 budhā bhāva-samanvitāḥ

“I am the source of all spiritual and material worlds. Everything emanates from Me. The wise who know this perfectly engage in My devotional service and worship Me with all their hearts.”

“내가 영계와 물질계 모두의 근원이니라. 모든 것은 나에게서 나왔다. 이것을 완벽히 아는 자는 나를 향한 봉헌에 종사하고 마음을 다해 나를 숭배하느니라.” 《바가바드 기따 10.8》        

The well-versed person, or budhāḥ, is one who has understood that Kṛṣṇa is the origin of all emanations. Whatever we happen to see is but an emanation of Kṛṣṇa. For millions and millions of years sunshine has been emanating from the sun, and yet the sun is as it is. Similarly, all material and spiritual energies are coming from Kṛṣṇa. As a result of knowing this, one becomes a devotee of Kṛṣṇa.

경전에 정통한 사람 혹은 부다하는 끄리쉬나가 모든 발산물의 기원이라는 사실을 이해한 자이다. 우리가 보는 모든 것은 끄리쉬나의 발산물이다. 수백 수천만 년 동안 햇볕이 태양에서 발산되었지만 태양은 그대로이다. 마찬가지로 모든 물질적, 영적 에너지는 끄리쉬나에게서 나왔다. 이것을 알게 되면 끄리쉬나의 헌애자가 된다.

Thus one who knows that he must work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who no longer desires to enjoy this material world, is actually learned. Everyone is working in the material world due to lust (kāma), but the wise man is free from the dictations of this lust (kāma-saṅkalpa-varjitāḥ). How is this possible? Jñānāgni-dagdha-karmāṇam: the fire of knowledge burns up all reactions of sinful activities. It is the most potent of purifiers. Our lives have meaning and direction only in so far as we strive to attain this transcendental knowledge of Kṛṣṇa consciousness, rāja-vidyā, which is the king of all knowledge.

따라서 끄리쉬나 의식으로 행동해야 한다는 것을 아는 자는 이 물질계를 즐기려고 더는 욕망하지 않고, 이런 자가 실제로 학식을 갖춘 자다. 모두 강한 열망(까마: kāma)으로 물질계에서 행동하지만 현명한 자는 이 욕망의 명령에서 자유롭다(까마-상깔빠-바르지따하: kāma-saṅkalpa-varjitāḥ). 어떻게 이것이 가능한가? 갸나그니-닥다-까르마남(Jñānāgni-dagdha-karmāṇam). 지식의 불이 모든 죄 많은 행위의 과보를 태워버린다. 이것이 가장 강력한 정화제이다. 끄리쉬나 의식이라는 이 초월적 지식, 모든 지식의 왕인 라쟈-비댜를 구하려 노력하는 한 우리 삶은 의미와 방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