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20

제20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न जायते म्रियते वा कदाचि-
न्नायं भूत्वा भविता वा न भूयः ।
अजो नित्यः शाश्वतोऽयं पुराणो
न हन्यते हन्यमाने शरीरे ॥ २० ॥

Text

원문

na jāyate mriyate vā kadācin
nāyaṁ bhūtvā bhavitā vā na bhūyaḥ
ajo nityaḥ śāśvato ’yaṁ purāṇo
na hanyate hanyamāne śarīre
나 자야떼 므리야떼 바 까다찐 na jāyate mriyate vā kadācin
나얌 부뜨바 바비따 바 나 부야하 nāyaṁ bhūtvā bhavitā vā na bhūyaḥ
아조 니땨 샤스바또’얌 뿌라노 ajo nityaḥ śāśvato ’yaṁ purāṇo
나 한야떼 한야마네 샤리레 na hanyate hanyamāne śarīre

Synonyms

동의어

na — never; jāyate — takes birth; mriyate — dies; — either; kadācit — at any time (past, present or future); na — never; ayam — this; bhūtvā — having come into being; bhavitā — will come to be; — or; na — not; bhūyaḥ — or is again coming to be; ajaḥ — unborn; nityaḥ — eternal; śāśvataḥ — permanent; ayam — this; purāṇaḥ — the oldest; na — never; hanyate — is killed; hanyamāne — being killed; śarīre — the body.

나: 결코, 자야떼: 태어나다, 므리야떼: 죽다, 바: 어느 것도, 까다찟: 어떠한 때라도(과거, 현재, 미래), 나: 결코, 아얌: 이것, 부뜨바: 이미 태어난, 바비따: 미래에 태어날, 바: 또는, 나: 아니다, 부야하: 다시 존재하는, 아자하: 태어나지 않은, 니땨하: 영원한, 샤스바따하: 지속적인, 아얌: 이것, 뿌라나하: 가장 오래된 것, 나: 결코, 한야떼: 죽다, 한야마네: 살해되다, 샤리레: 육체.

Translation

번역

For the soul there is neither birth nor death at any time. He has not come into being, does not come into being, and will not come into being. He is unborn, eternal, ever-existing and primeval. He is not slain when the body is slain.

어느 때에도 영혼에게 생과 사란 존재하지 않는다. 영혼은 과거에 태어난 것이 아니며, 현재에 태어나는 것 또한 아니며, 미래에 태어나지도 않을 것이다. 그것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영원하고, 항상 존재하며 원초적이다. 육신이 살해될 때 영혼은 절대 살해되지 않는다.

Purport

주석

Qualitatively, the small atomic fragmental part of the Supreme Spirit is one with the Supreme. He undergoes no changes like the body. Sometimes the soul is called the steady, or kūṭa-stha. The body is subject to six kinds of transformations. It takes its birth from the womb of the mother’s body, remains for some time, grows, produces some effects, gradually dwindles, and at last vanishes into oblivion. The soul, however, does not go through such changes. The soul is not born, but, because he takes on a material body, the body takes its birth. The soul does not take birth there, and the soul does not die. Anything which has birth also has death. And because the soul has no birth, he therefore has no past, present or future. He is eternal, ever-existing and primeval – that is, there is no trace in history of his coming into being. Under the impression of the body, we seek the history of birth, etc., of the soul. The soul does not at any time become old, as the body does. The so-called old man, therefore, feels himself to be in the same spirit as in his childhood or youth. The changes of the body do not affect the soul. The soul does not deteriorate like a tree, nor anything material. The soul has no by-product either. The by-products of the body, namely children, are also different individual souls; and, owing to the body, they appear as children of a particular man. The body develops because of the soul’s presence, but the soul has neither offshoots nor change. Therefore, the soul is free from the six changes of the body.

최고 영혼의 자그마한 원자적 파편은 절대자와 질적으로 하나이다. 영혼은 육신과 같은 변화를 거치지 않는다. 때때로 영혼은 꾸따-스타(kūṭa-stha), 즉 한결같은 것으로 불린다. 육신은 여섯 종류의 변화를 거치게 된다. 먼저 모체의 자궁에서 태어나 잠시 머물며 자라서 자식을 낳고, 점점 쇠퇴하여 사라지고 마침내 잊힌다. 그러나 영혼은 이러한 변화를 거치지 않는다. 영혼은 태어나지 않지만 물질로 된 몸을 갖기에 몸이 출생을 맞는다. 영혼은 절대 태어나지 않으며 죽지도 않는다. 태어나는 어떤 것도 죽음을 맞게 되지만 영혼에게는 출생이 없기에 과거도 현재도 미래도 없다. 영혼은 영원하고 항상 존재했으며 원초적이다. 즉 영혼의 존재는 역사적 추적이 불가능하다. 육신에서 비롯된 개념으로 우리는 영혼의 출생 혹은 유래를 찾으려고 한다. 영혼은 육신처럼 어느 순간에도 늙지 않는다. 노인이 되어도 혼은 어린 시절에나 젊었을 때나 같다는 것을 노인 본인도 느낄 수 있다. 즉 육체의 변화는 영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영혼은 나무나 다른 물질적인 것처럼 악화되지 않는다. 영혼은 부산물을 낳지도 않는다. 육신의 부산물, 이름하여 자식들 역시 서로 다른 개별 영혼이고 육신 때문에 특정한 사람의 자식으로 보이는 것뿐이다. 육체는 영혼의 존재 때문에 성장하지만 영혼은 자식을 낳지도, 변하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영혼은 육신의 여섯 단계의 변화와 무관하다.

In the Kaṭha Upaniṣad (1.2.18) we also find a similar passage, which reads:

까타 우빠니샤드(1.2.18)에서 우리는 이와 유사한 글을 찾을 수 있다.

na jāyate mriyate vā vipaścin
nāyaṁ kutaścin na babhūva kaścit
ajo nityaḥ śāśvato ’yaṁ purāṇo
na hanyate hanyamāne śarīre
나 자야떼 므리야떼 바 비빠스찐 na jāyate mriyate vā vipaścin
나얌 꾸따스찐 나 바부바 까스찟 nāyaṁ kutaścin na babhūva kaścit
아조 니땨 샤스바또’얌 뿌라노 ajo nityaḥ śāśvato ’yaṁ purāṇo
나 한야떼 한야마네 샤리레 na hanyate hanyamāne śarīre

The meaning and purport of this verse is the same as in the Bhagavad-gītā, but here in this verse there is one special word, vipaścit, which means learned or with knowledge.

이 절의 의미와 취지는 바가바드 기따와 같지만 이 절에 학식 또는 지식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비빠스찟(vipaścit)이라는 특별한 단어가 나온다.

The soul is full of knowledge, or full always with consciousness. Therefore, consciousness is the symptom of the soul. Even if one does not find the soul within the heart, where he is situated, one can still understand the presence of the soul simply by the presence of consciousness. Sometimes we do not find the sun in the sky owing to clouds, or for some other reason, but the light of the sun is always there, and we are convinced that it is therefore daytime. As soon as there is a little light in the sky early in the morning, we can understand that the sun is in the sky. Similarly, since there is some consciousness in all bodies – whether man or animal – we can understand the presence of the soul. This consciousness of the soul is, however, different from the consciousness of the Supreme because the supreme consciousness is all-knowledge – past, present and future. The consciousness of the individual soul is prone to be forgetful. When he is forgetful of his real nature, he obtains education and enlightenment from the superior lessons of Kṛṣṇa. But Kṛṣṇa is not like the forgetful soul. If so, Kṛṣṇa’s teachings of Bhagavad-gītā would be useless.

영혼은 지식으로 가득하며 항상 의식으로 차 있다. 그러므로 의식은 영혼의 징후이다. 심장에서 영혼을 발견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의식의 존재로 영혼의 존재를 이해할 수 있다. 때때로 구름이나 다른 이유로 하늘의 해를 볼 수 없지만 햇빛이 항상 존재하므로 우리는 낮이라고 확신한다. 동틀 무렵이 되어 약간의 빛이 비치기라도 하면 즉시 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마찬가지로 사람이든 동물이든 모든 육신에 어느 정도의 의식이 있기에 영혼의 존재를 알 수 있다. 그러나 영혼의 이 의식은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지식을 가지고 있는 절대자의 의식과는 다르다. 개별 영혼의 의식은 잊어버리기 쉬운 경향이 있다. 영혼이 자기의 진정한 본성을 잊어버리면 끄리쉬나의 드높은 가르침을 받아 지식과 깨달음을 얻게 된다. 그러나 끄리쉬나는 우리처럼 망각하는 영혼이 아니다. 만약 끄리쉬나가 그렇다면 그가 가르치는 바가바드 기따는 아무 쓸모가 없을 것이다.

There are two kinds of souls – namely the minute particle soul (aṇu-ātmā) and the Supersoul (vibhu-ātmā). This is also confirmed in the Kaṭha Upaniṣad (1.2.20) in this way:

두 가지 종류의 영혼이 있고 이들은 이름하여 작은 입자적 영혼(아누-아뜨마 aṇu-ātmā)과 초영혼(비부-아뜨마 vibhu-ātmā)이다. 이것은 까타 우빠니샤드(1.2.20)에서도 확증된다.

aṇor aṇīyān mahato mahīyān
ātmāsya jantor nihito guhāyām
tam akratuḥ paśyati vīta-śoko
dhātuḥ prasādān mahimānam ātmanaḥ
아노라니얀 마하또 마히얀 aṇor aṇīyān mahato mahīyān
아뜨마샤 잔또르 니히또 구하얌 ātmāsya jantor nihito guhāyām
땀 아끄라뚜후 빠샤띠 비따-쇼꼬 tam akratuḥ paśyati vīta-śoko
다뚜후 쁘라사단 마히마남 아뜨마나하 dhātuḥ prasādān mahimānam ātmanaḥ

“Both the Supersoul [Paramātmā] and the atomic soul [ jīvātmā] are situated on the same tree of the body within the same heart of the living being, and only one who has become free from all material desires as well as lamentations can, by the grace of the Supreme, understand the glories of the soul.” Kṛṣṇa is the fountainhead of the Supersoul also, as it will be disclosed in the following chapters, and Arjuna is the atomic soul, forgetful of his real nature; therefore he requires to be enlightened by Kṛṣṇa, or by His bona fide representative (the spiritual master).

“초영혼(빠람아뜨마 Paramātmā)과 원자적 영혼(지바뜨마 jīvātmā)은 둘 다 생명체의 몸이라는 나무 위의 가슴 안에 앉아 있는데, 모든 물질적 욕망과 비탄에서 벗어난 자만이 절대자의 은총으로 영혼의 영광을 이해할 수 있다.” 다음 장에서 설명될 것이지만 끄리쉬나가 초영혼의 근원이고, 아르주나는 원자적 영혼으로서 자신의 진정한 본성을 망각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끄리쉬나 또는 끄리쉬나의 진정한 대리인(영적 스승)을 통해 교화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