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TEXT 9

제9절

Devanagari

데바나가리 문자

मच्च‍ित्ता मद्ग‍तप्राणा बोधयन्त: परस्परम् ।
कथयन्तश्च मां नित्यं तुष्यन्ति च रमन्ति च ॥ ९ ॥

Text

원문

mac-cittā mad-gata-prāṇā
bodhayantaḥ parasparam
kathayantaś ca māṁ nityaṁ
tuṣyanti ca ramanti ca
맛-찟따 맏-가따-쁘라나 mac-cittā mad-gata-prāṇā
보다얀따 빠라스빠람 bodhayantaḥ parasparam
까타얀따스 짜 맘 니땸 kathayantaś ca māṁ nityaṁ
뚜샨띠 짜 라만띠 짜 tuṣyanti ca ramanti ca

Synonyms

동의어

mat-cittāḥ — their minds fully engaged in Me; mat-gata-prāṇāḥ — their lives devoted to Me; bodhayantaḥ — preaching; parasparam — among themselves; kathayantaḥ — talking; ca — also; mām — about Me; nityam — perpetually; tuṣyanti — become pleased; ca — also; ramanti — enjoy transcendental bliss; ca — also.

맛-찟따하: 나에게 전적으로 집중한 그들의 마음, 맛-가따-쁘라나하: 나에게 헌신한 그들의 삶, 보다얀따하: 선교(preaching), 빠라스빠람: 그들 중에서, 까타얀따하: 말하는, 짜: 또한, 맘: 나에 관해, 니땸: 영원히, 뚜샨띠: 기쁘게 되다, 짜: 또한, 라만띠: 초월적 축복을 즐기다, 짜: 또한.

Translation

번역

The thoughts of My pure devotees dwell in Me, their lives are fully devoted to My service, and they derive great satisfaction and bliss from always enlightening one another and conversing about Me.

내 순수한 헌애자들의 생각은 항상 나에게 있고, 그들의 삶은 나를 향한 봉사에 전적으로 헌신하며, 그들은 나에 관해 이야기하고 항상 서로 일깨움으로써 커다란 만족과 축복을 얻는다.

Purport

주석

Pure devotees, whose characteristics are mentioned here, engage themselves fully in the transcendental loving service of the Lord. Their minds cannot be diverted from the lotus feet of Kṛṣṇa. Their talks are solely on the transcendental subjects. The symptoms of the pure devotees are described in this verse specifically. Devotees of the Supreme Lord are twenty-four hours daily engaged in glorifying the qualities and pastimes of the Supreme Lord. Their hearts and souls are constantly submerged in Kṛṣṇa, and they take pleasure in discussing Him with other devotees.

순수한 헌애자들의 특성이 여기에 언급되었는데, 그들은 주를 향한 초월적 사랑의 봉사에 전적으로 종사한다. 그들의 마음은 끄리쉬나의 연꽃 같은 발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들의 이야기는 오직 초월적인 주제에 관한 것이다. 순수한 헌애자의 징후가 이 절에서 자세히 묘사되었다. 지고한 주의 헌애자들은 하루 스물네 시간을 지고한 주의 자질과 유희를 찬양하는 데 쓴다. 그들의 마음과 영혼은 항상 끄리쉬나에 잠겨있고, 다른 헌애자들과 주에 관해 논의하는 데서 즐거움을 느낀다.

In the preliminary stage of devotional service they relish the transcendental pleasure from the service itself, and in the mature stage they are actually situated in love of God. Once situated in that transcendental position, they can relish the highest perfection which is exhibited by the Lord in His abode. Lord Caitanya likens transcendental devotional service to the sowing of a seed in the heart of the living entity. There are innumerable living entities traveling throughout the different planets of the universe, and out of them there are a few who are fortunate enough to meet a pure devotee and get the chance to understand devotional service. This devotional service is just like a seed, and if it is sown in the heart of a living entity, and if he goes on hearing and chanting Hare Kṛṣṇa, Hare Kṛṣṇa, Kṛṣṇa Kṛṣṇa, Hare Hare/ Hare Rāma, Hare Rāma, Rāma Rāma, Hare Hare, that seed fructifies, just as the seed of a tree fructifies with regular watering. The spiritual plant of devotional service gradually grows and grows until it penetrates the covering of the material universe and enters into the brahma-jyotir effulgence in the spiritual sky. In the spiritual sky also that plant grows more and more until it reaches the highest planet, which is called Goloka Vṛndāvana, the supreme planet of Kṛṣṇa. Ultimately, the plant takes shelter under the lotus feet of Kṛṣṇa and rests there. Gradually, as a plant grows fruits and flowers, that plant of devotional service also produces fruits, and the watering process in the form of chanting and hearing goes on. This plant of devotional service is fully described in the Caitanya-caritāmṛta (Madhya-līlā, Chapter Nineteen). It is explained there that when the complete plant takes shelter under the lotus feet of the Supreme Lord, one becomes fully absorbed in love of God; then he cannot live even for a moment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Supreme Lord, just as a fish cannot live without water. In such a state, the devotee actually attains the transcendental qualities in contact with the Supreme Lord.

봉헌의 초기 단계에서 그들은 봉헌 그 자체에서 초월적 기쁨을 만끽하고, 성숙한 단계에 이르면 절대신의 사랑에 실제로 위치하게 된다. 일단 초월적 경지에 이르게 되면 그들은 주께서 당신의 보금자리에서 보이시는 가장 높은 완성을 즐길 수 있게 된다. 주 짜이따냐께서는 초월적 봉헌을 생명체의 마음에 씨를 심는데 비유하신다. 우주의 여러 행성을 떠도는 무수한 생명체가 있고, 그들 중 일부가 다행히도 순수한 헌애자를 만나 봉헌을 이해할 기회를 얻는다. 이 봉헌은 씨앗과 같아서 생명체의 마음에 씨를 심고, 하레 끄리쉬나, 하레 끄리쉬나, 끄리쉬나 끄리쉬나, 하레 하레 / 하레 라마, 하레 라마, 라마 라마, 하레 하레를 듣고 구송하면 나무에 주기적으로 물을 주어 나무에 열매가 맺히는 것처럼 그 씨앗이 열매를 맺는다. 봉헌의 영적 묘목은 물질적 우주의 덮개를 뚫고 영적 하늘의 브라흐마죠띠에 이를 때까지 점점 자라고 또 자란다. 영적 하늘에서도 나무는 더 자라 끄리쉬나의 행성, 골로까 브리다반이라고 하는 최상의 행성에 이른다. 마침내, 나무는 끄리쉬나의 연꽃 같은 발아래 은신하고 그곳에 머문다. 점차 나무가 자라서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 것처럼 봉헌의 나무 또한 열매를 생산하며, 구송과 듣기의 물주는 과정은 계속된다. 봉헌의 이 나무는 짜이따냐 짜리땀리따(마댜 릴라, 제19장)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거기에서 설명하기를, 완전히 성장한 나무가 지고한 주의 연꽃 같은 발에 은신할 때, 절대신의 사랑에 전적으로 몰입한다고 한다. 그러면 물고기가 물 없이 살 수 없듯이, 단 한시라도 지고한 주와 교류하지 않고는 살 수 없다. 그러한 상태에서 헌애자는 지고한 주와의 교류 속에서 실제로 초월적 자질들을 얻게 된다.

The Śrīmad-Bhāgavatam is also full of such narra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reme Lord and His devotees; therefore the Śrīmad-Bhāgavatam is very dear to the devotees, as stated in the Bhāgavatam itself (12.13.18). Śrīmad-bhāgavataṁ purāṇam amalaṁ yad vaiṣṇavānāṁ priyam. In this narration there is nothing about material activities, economic development, sense gratification or liberation. Śrīmad-Bhāgavatam is the only narration in which the transcendental nature of the Supreme Lord and His devotees is fully described. Thus the realized souls in Kṛṣṇa consciousness take continual pleasure in hearing such transcendental literatures, just as a young boy and girl take pleasure in association.

스리마드 바가바땀 또한 지고한 주와 당신의 헌애자들과의 관계에 관한 이야기로 가득하다. 그러므로 바가바땀(12.13.18)이 직접 말하듯 스리마드 바가바땀은 헌애자에게 매우 소중하다. “스리마드 바가바땀 뿌라남 아말람 얃 바이쉬나바남 쁘리얌(Śrīmad-bhāgavataṁ purāṇam amalaṁ yad vaiṣṇavānāṁ priyam).” 이 설명에서 물질적 행위, 경제 발전, 감각 만족, 해방에 관한 말은 없다. 스리마드 바가바땀은 지고한 주와 헌애자의 초월적 본성이 완전히 설명된 유일한 서술이다. 따라서 끄리쉬나 의식에 있는 깨달은 영혼은 그러한 초월적 문헌을 듣는 데서 계속된 즐거움을 느끼고, 이것은 어린 소년과 소녀가 서로 어울려 즐거움을 느끼는 것과 같다.